[내일배움캠프] 11/23 수요일 TIL 회고록
오늘은 미니프로젝트 시작일이었다.
1일차와 2일차 프로젝트가 있었고, 1일차는 24일 (내일) 9시까지 제출해야하고 2일차는 29일 화요일까지 제출이었다.
1일차 프로젝트는 메모장 만들기 프로젝트였고, 2일차 프로젝트는 은행이나 호텔 프로그램을 만드는 프로젝트였다.
우리 팀은 5명이서 메모장을 만드는건 너무 분담하기가 힘들고 너무 많다고 판단해서 두명은 29일까지 제출해야하는
은행 프로그램을 틀을 짜기로 하였고, 나머지 세명은 메모장 만드는 프로젝트를 하였다.
나랑 코딩을 엄청 잘하시는 팀원분 두명이 은행 만드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깃허브에 커밋, 푸시를 이용해서 프로젝트를 서로 주고받았는데.. 나는 깃허브 강의를 듣지 못해 처음에 엄청 해맸다.
구글에 검색을 해가며 겨우 깃허브 레포지토리를 만들고 팀원분들을 초대했다.
커밋, 푸시도 쓰는법도 모르고 무슨 역할을 하는지도 몰라서 팀원분한테 죄송하다 하고 설명을 들었다. ㅠㅠ
필수 요구사항 및 체크리스트를 보고 어떻게 만들어야 할지 막막하게 고민하고 있었는데 팀원분이
다 만들어주셨다.. 그래서 나는 main 클래스만 만들었다. ㅋㅋㅋ... 이거도 나한텐 엄청 힘들었다.
열심히 구글링을 해서 검색해 본 결과 do-while 문 이랑 case 문을 이용하는게 많아서 나도 이용했다.
어려운 부분이나 막힌 부분은 팀원분이 도와주셔서 끝냈다. 어려운 부분은 다 해주셔서.. 끝낸거같다.
정말 대단했다.. 처음 요구사항 및 체크리스트를 봤을때 어떻게 짜야하지 처음에는 어떻게 짜야하지
오만가지 생각이 들면서 막막했는데 팀원분은 바로바로 코드를 짜기 시작한게 정말 신기하고 대단했다.
나도 저렇게 될 수 있을까..라는 생각이 참 많이 들었다.
저녁시간이 끝나고 팀원분한테 조금 강의를 받았다.
tostring을 호출하면 현재 트렌직션 레포지 하나하나의 필드값을 스트링으로 만들어서 넘겨줄수있다. TransactionRepository
private TransactionHistoryService(){
transactionLists = new ArrayList<>();
private ArrayList<TransactionRepository> transactionLists; : 우리가 정의한 트렌직션 레포지토리를
트랜직션레포지토리 = 뉴 트랜직션~~ .. 어레이리스트 배열리스트로 정의함
TransactionRepository transaction = new TransactionRepository(
nameOfBank,
accountNumber,
amountOfTransaction,
transactionTime
);
하나하나 넣어서 만듬. this.transactionLists.add(transaction); 어레이리스트에 집어넣겠다.
Iterator = 구글검색해보기, for문이랑 비슷함 this.transactionLists.iterator(); 요소를 하나하나 참고를해서 스트링 리절트에 넣는다.
대충대충 받아적었다..
그리고 Iterator 와 싱글톤에 대해서도 배웠다.
lterator는 해당 블로그를 보면서 공부를 조금 하였다.
https://junlab.tistory.com/235
[java] 자바 iterator란? 및 예제
List와 같은 컬랙션에서 요소들을 순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 iterator 반복자가 존재합니다. 예제를 보고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public class IteratorEx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List list =
junlab.tistory.com
싱글톤은 해당 유튜브를 보면서 공부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5jgpu9-ywtY
내일 시간이 난다면 팀원분이 만들어 주신 코드들을 내가 직접 키보드로 입력해 가면서 모르는 부분이 생기면
바로 물어보고 이해를 해서 내 것으로 만들 수 있게 더욱 더 공부를 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