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7월 14일 금요일 TIL 회고록
    카테고리 없음 2023. 7. 14. 23:48

    코딩테스트 기록


    프로그래머스 Lv.1 제일 작은 수 제거하기

    문제 설명 및 제한 조건, 입출력 예

    풀이

    import java.util.Arrays;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arr) {
         // 1. arr 값을 저장한다.
        int[] saveArr = arr.clone();
        // 2. 값을 리턴할 int[]형 answer를 만들었다. 최솟값 1개는 빠지게 되므로 arr의 길이에서 -1을 해준다.
        int[] answer = new int[arr.length -1];
    
     // 3. Arrays.sort()를 사용해서 배열 arr을 오름차순으로 정렬시켰다.
        Arrays.sort(arr);
    
     // 4. 만약 arr의 길이가 1이면 int[] answer2를 만들어서 -1을 넣은 뒤 리턴시켰다.
        if (arr.length == 1) {
         int[] answer2 = {-1};
          return answer2;
        }
        
       // 5. 반복문용 변수 index를 선언한다. (가장 작은 수가 여러개일 수도 있기 때문에 선언했다.)
        int index = 0;
        for (int i = 0 ; i < arr.length; i++) {
        // saveArr = 정렬하기 전 arr, 
        // 6. saveArr[i]번째가 오름차순으로 정렬 된 가장 작은 수 arr[0]보다 크면
        // answer[index++]번째에 saveArr[i] 값을 넣었다.
          if (saveArr[i] > arr[0]) {
            answer[index++] = saveArr[i];
          }
        }
          
          return answer;
        }
      }
    1. arr.clone()를 사용해 int[] saveArr에 arr 배열의 값을 복사한다.
    2. 값을 리턴할 int[] answer를 만들었다. 제일 작은 수 하나는 제거되므로 arr의 길이에서 -1을 빼준다.
    3. Arrays.sort()를 사용해서 배열 arr을 오름차순으로 정렬시켰다. (제일 작은 수가 먼저 오도록 정렬시켰다.)
    4. if문을 사용해 만약 arr의 길이가 1이면 int[] answer2를 만들어서 -1을 넣은 뒤 리턴시켰다.
    5. 반복문용 변수 index를 선언한다. (가장 작은 수가 여러개일 수도 있기 때문에 선언했다.)
    6. for문, if문을 사용해 만약 saveArr[i]번째의 수가 arr[0]번째 수보다 크면 answer[index++]값에 saveArr[i] 값을 넣었다.

     

    여담

     

    처음에는 반복문만 써주면 되겠지 하고 코드를 짰다 

    int index = 0;
    for(int i = 0 ; i < arr.length; i++) {
    	for(int j = i+1; j <arr.length; j++) {
        	if(arr[i] > arr[j]) {
        		answer[index++] = arr[i]
            	}
        	}
        }

    대충 이런식으로 짰는데 막상 짜보니 이상한 것 같아 Math.max, Math.min을 사용해봤지만 자꾸 밑에 오류가 나왔다.

    index 1 out of bounds for length 1

    이런 오류가 출력되며 실행이 되지 않아 엄청 답답했다.. 그래서 위에 방법을 생각했다.

    arr의 값을 어떤 배열에 넣은 후 arr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한 후 for문과 if문을 사용해 arr의 값을 넣어둔 어떤 배열이랑 arr의 첫번째 값(제일 작은 수)를 비교해 arr의 첫번째 값보다 큰 수면 answer에 넣어보자.

    위에 코드도 다 적고 실행해보니 똑같은 index 1 out of bounds for length 1 오류가 출력되었다.

    뭔가 이상하다 싶어 answer.length를 system.out.println으로 출력해보았다.

        int[] arr = {4,3,2,1};
        int[] answer = {arr.length};
        System.out.println(answer.length);

    실행 결과

    뭔가 이상함을 느꼈다. arr의 길이는 4,3,2,1 = 총 4개인데 왜 1이 출력이 될까..? 다시 한 번 생각해보니 이 부분이 뭔가 잘못되었다는 것을 느꼈다.

    int[] answer = {arr.length};

    {arr.length}로 하면.. 컴퓨터 입장에서 보면 1일 수도 있겠구나를 느꼈다.

    int[] answer = new int[arr.length];

    그래서 위에 처럼 바꿔주었더니 정상적으로 4가 출력이 되었다.

    까먹지말고 기억하고 있어야겠다.


    백준 1110번 더하기 사이클

    문제

    0보다 크거나 같고, 99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가 주어질 때 다음과 같은 연산을 할 수 있다. 먼저 주어진 수가 10보다 작다면 앞에 0을 붙여 두 자리 수로 만들고, 각 자리의 숫자를 더한다. 그 다음, 주어진 수의 가장 오른쪽 자리 수와 앞에서 구한 합의 가장 오른쪽 자리 수를 이어 붙이면 새로운 수를 만들 수 있다. 다음 예를 보자.

    26부터 시작한다. 2+6 = 8이다. 새로운 수는 68이다. 6+8 = 14이다. 새로운 수는 84이다. 8+4 = 12이다. 새로운 수는 42이다. 4+2 = 6이다. 새로운 수는 26이다.

    위의 예는 4번만에 원래 수로 돌아올 수 있다. 따라서 26의 사이클의 길이는 4이다.

    N이 주어졌을 때, N의 사이클의 길이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풀이 

    생각보다 많이 어려웠다. 수학적인 문제라서 로직을 이해하고 푸는데 정말 오래 걸렸다.

    내가 푼 방법은

    1. z의 10의 자리를 x, 1의 자리를 y라고 한다면 x + y을 한 sum을 구한다.
    2. z = y * 10 + sum % 10 으로 초기화 해준다. 
    3. z와 n이 같아질때까지 반복한다. 같지 않으면 count를 1 올린다.

    위에 적혀있는 숫자인 26을 예시로 들면

    • 10의 자리의 숫자를 구하는 방법은 26을 10으로 나누면 10의 자리의 숫자인 2가 나온다. 
    • 1의 자리의 숫자를 구하는 방법은 26을 10으로 나눈 나머지가 1의 자리인 숫자인 6이 나온다.
    • 그 후 x + y를 해준다. 2+6= 8이 나온다.
    • z= y * 10 + sum % 10 을 해보자. 
      • z = (6 * 10) + 8 % 10 =  60 + 8 =  68 
        • z와 n이 같지 않으므로 1~2번을 반복해준다. 
        • 카운트를 1 올린다.
    • 6 + 8 = 14, x = 6, y = 8, sum = 14
      • z = (8 * 10) + 14 % 10 = 80 + 4 = 84
        • z와 n이 같지 않으므로 1~2번을 반복해준다.
        • 카운트를 1 올린다.
    • 8 + 4 = 12, x = 8, y = 4, sum = 12
      • z = (4 * 10) + 12 % 10 = 40 + 2 = 42
        • z와 n이 같지 않으므로 1~2번을 반복해준다.
        • 카운트를 1 올린다.
    • 4 + 2 = 6, x = 4 , y = 2, sum = 6
      • z = (2 * 10) + 6 % 10 = 20 + 6 = 26
      • z와 n이 같으므로 (26) 반복문을 종료한다.
      • 카운트를 출력한다.

    전체 코드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int a = sc.nextInt();
        int result = a;
        int count = 0;
    
        // while문을 사용해 result가 A와 같을 때까지 반복한다.
        while(true) {
    
          // 첫번쨰 자리
          int one = result / 10;
    
          // 두번째 자리
          int two = result % 10;
    
          // one + two 합
          int sum = one + two;
    
          result = (two * 10) + sum % 10;
          count++;
    
          if (result == a) {
            break;
          }
        }
        System.out.println(count);
      }
    }

     

    . 채점 결과

     백준은 처음 풀어보는데 상당히 어려웠따...

    문제를 완벽히 이해했으면 매우 쉬운 문제지만 이해를 못하면 완전 어려운 문제인 것 같다.

    물론 나는 후자였다. 더 열심히 해야겠다..

     

Designed by Tistory.